센터소식관련뉴스

관련뉴스

센터소식관련뉴스

관련뉴스

제목[이화뉴스] 교수 소식 : 이윤실 교수, 국제학술지 ‘Clinical Cancer Research’ 게재 2019-06-13 09:23

 

이윤실 교수 공동연구팀 연구논문 국제학술지 ‘Clinical Cancer Research’ 게재

 

이윤실 전슬기약학과 이윤실 교수가 공동교신저자로, 박사과정 전슬기 씨(지도교수 이윤실)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한 국내 공동연구팀의 폐섬유화 유발 원인 규명에 관한 논문이 암연구분야의 저명 국제학술지 'Clinical Cancer Research(피인용지수 IF=10.199)'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기초의과학분야(MRC) 및 방사선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최신의 방사선치료법인 Stereotatic Body Radiation Therapy를 모사하는 동물 모델을 구축하여, 임상상황과 유사한 상황을 대변하는 방사선 치료시 나타나는 폐섬유화에 관여하는 분자 타겟인 '열충격단백질27(이하 HSP27)'을 발굴했다.

또한 'HSP27'이 폐섬유화를 유도하는 기전을 규명함과 동시에 폐섬유화를 제어할 수 있는 HSP27 저해 약물을 발굴했다. 연구팀은 현재 효과적인 약물이 거의 전무한 폐섬유화질환 제어에 새로운 타겟을 제시하고, 이를 타겟으로 한 새로운 약물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했다.

폐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에 의한 폐섬유화 부작용과 함께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 및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도 폐섬유화가 발생됨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폐섬유화 치료제로 미국 FDA에서 승인된 약물은 2개 뿐이고 그마저도 뚜렷한 치료 효과를 보이고 있지 않거나, 부작용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서 폐섬유화질환 제어에 새로운 타겟을 제시한 본 연구팀의 연구성과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윤실 교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선도연구센터사업 기초의과학분야(Medical Research Center)에 선정된 '섬유화질환 제어 연구센터'를 맡아, 섬유화질환의 치료 타깃 발굴 및 제어를 위해 섬유화 발병 기전 규명 및 제어물질 발굴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본교 섬유화질환 제어 연구센터는 2025년까지 향후 7년간 총 94억여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관련 연구를 진행하게 되며, 의약산업 분야 국가경쟁력 확보에 필요한 원천기반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 출처 : [이화뉴스 2019-06-12] 교수 소식 : 이윤실, 송승영 교수 (기사 링크 클릭)